반응형
박종훈의 지식한방이라는 유튜브 채널의 내용을 보고 지극히 공감되어 내용을 정리해 본다.
연간 6000억을 투자하고 있다지만 이것도 교육예산에 그 비중이 높고 가장 절실한 GPU투자는 없다.
인공지능은 장치산업이라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는 듯 하다.
답답한 마음에 내용을 공유해 본다.
https://youtu.be/A0s34BV_8Gc?si=bLDwZ17CnNakeVcw
한국의 AI 혁명 시대의 문제점은?
대한민국은 과거 IT 강국으로 자리 잡았지만, AI 시대에는 크게 뒤쳐진 상황이에요.
정부와 기관의 순위 발표와는 달리, 실제로는 AI 후진국으로 볼 수 있다고 지적되죠.
역사적으로 기술 혁명과 함께 발생한 버블에서, 일부 기업만이 성공을 거두고 다수는 실패하는 경향이 있었어요.
이러한 패턴은 철도와 금광 바울에서도 확인할 수 있죠.
AI 시대는 천문학적인 자본이 필요하며, 기존의 방식인 저비용 상품 판매로는 성공하기 어려운 환경이에요.
이는 높은 금리와 자금 조달의 어려움으로 인해 더욱 심화되었죠..

한국 AI 산업의 투자 상황은?
한국은 AI 혁명에 참여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지만, 현재의 투자 수준은 매우 현저히 부족한 상태예요.
현재 한국의 AI 서버 수는 1961대로 추정되며, 이는 미국의 한 기업이 보유한 서버 수와 비교할 때 매우 미비한 상황이죠.
정부의 AI 관련 투자 발표는 2030년까지 4조 원에 불과하며, 이는 연간 600억 원 정도의 작은 규모에 해당해요.
과거 1999년 사이버 코리아 21 계획 당시 정부가 투자한 10조 7천억 원과 비교할 때, 현재의 투자는 비웃음거리로 여겨질 정도로 부족하죠.
AI 투자가 부실할 경우, 한국은 AI 강국으로 도전하기보다는 후진국으로 전락할 위험에 처해 있어요..

AI 산업 투자 전략은 무엇인가요?
100조 원의 투자 타이밍은 남들이 포기한 순간이 중요하죠. 혁신 기술은 처음에는 관심을 받지 않다가 대규모 투자로 과도한 관심을 받게 되며, 이후 환멸의 단계를 거쳐요.
환멸의 단계에서 투자를 하면 더욱 효율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죠. 이 시기에 100조 원을 투입하면, 이미 많은 투자를 한 미국 기업들보다 효과적일 수 있어요.
삼성전자의 1980년대 반도체 투자 사례는 중요한 교훈을 준답니다. 불황 시기에 대규모 투자를 지속한 결과, 반도체 가격 반등 시 가장 큰 수혜를 입었죠.
과감한 투자는 대공황 등 경제 위기 속에서 역전의 기회를 만들어낼 수 있어요. 켈로그가 불황 속에서 무료 급식소에 시리얼을 기부한 사례처럼, 봉사 활동이 효과적인 마케팅으로 이어졌죠.
미국 기업들이 막대한 투자를 하는 가운데, 효율적으로 자원을 아껴야 해요. 초조하게 기다리기보다는 기회의 순간을 잘 포착하여 집중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SLM 전환이 필요한 이유는?
한국은 라지 언어 모델(LLM) 개발에 도전하나, 미국 기업과의 경쟁에서 상대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보여요.
L&M 개발에는 천문학적인 자본이 필요하나, 스몰 언어 모델(SLM) 구축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가능하죠.
SLM을 활용하여 음성 인식 및 제조 AI 등을 개발함으로써 상업적 경험을 축적하는 것이 중요해요.
경험을 쌓은 후, 한국이 향후 LLM에 대한 도전을 가능하게 하려면 정부의 큰 투자 및 전략적 준비가 필요하죠.
아마존의 성장 사례처럼, 단계적 경험 축적이 AI 산업에서도 기회를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죠..

한국 AI 산업의 멀티모달 데이터 가능성은?
미국에서는 애플이 멀티모달 관련 기업 중 가장 앞서 나가고 있으며, 한국은 삼성전자와 LG와 같은 기업들이 이를 통해 기회를 가질 수 있어요.
한국은 아직도 플랫폼 산업이 살아있으며, 멀티모달 데이터를 수집하고 학습할 생태계가 존재하죠.
멀티모달 데이터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프라이버시와 보안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보장해야 사용자들이 자신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답니다.
한국이 멀티모달 데이터 산업에서 자리를 잡지 못하면 AI 산업이 위축될 것이며, 정부의 대대적인 투자가 필요해요.
한국은 1982년 반도체 산업 발전의 사례처럼, 지금도 제대로 투자한다면 AI 강국으로 도약할 가능성이 충분히 남아 있어요..

한국의 AI와 반도체 산업의 현황은?
한국이 AI 후진국으로 전락했다고 분석되고 있어요.
현재 반도체 산업의 지속적인 위기가 있으며, 이는 한국 경제의 큰 문제로 제기되고 있죠.
생태계와 기술 경쟁력이 떨어져 AI 혁신이 저조하다는 지적이 있어요.
반도체 산업이 살아나기 위해서는 특화된 기술 개발과 글로벌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되죠.
한국의 정부와 기업이 함께 협력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에요..
반응형
'대한민국의 현실(넋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반도체 한국 제외 (1) | 2025.01.13 |
---|